1. 제목
월정액 구독모델 대신, 종량제 구독모델의 부상
* 선정이유
- 2021년도 벌써 반이 가버리면서, (다음주면 7월입니다 ㅎㅎㅎ) 뱅크샐러드로 제 결제내역을 보고 있었습니다.
- 생각보다, 구독하고 있는 서비스들이 많은 것을 보고, 1년치를 미리 낸 것이 아니고, 빈도수를 계산해보면서 정리를 시작했습니다.
- 저와 같은 소비자들이 많을 것이라 생각했습니다.
- 초기 스타트업에서 BM을 만들어가고, 소비자들을 모으는 과정에 있는 저로서는 다른 대안이 어떤 것이 있을지 리서치하다가, 월정액 모델에서 종량제 모델이 부상하고 있다는 것을 보고, 블로그에도 공유합니다.
* 내용 정리
- 유행처럼 많은 곳에서 적용되고 있는 월정액 구독모델을, 소비자들이 피곤해하고 공정하지 않다고 생각하기 시작했습니다.
- 고객들은 사용한만큼의 요금을 내기를 원합니다. 이러면, 고객입장에서도 월정액 결제보다도 더 결제의 문턱이 낮아집니다.
- 회사의 입장에서도, 경쟁력이 생기고, 고객이 원하는 실제 데이터들을 더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.
- 사용한만큼 금액을 지불하니, 더 다양한 고객을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.
- 그리고 고객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능들을 추적할 수 있습니다.
출처 : http://www.ttimes.co.kr/view.html?no=2021053118267734137
https://post.naver.com/viewer/postView.naver?volumeNo=31636990&memberNo=17369166
월정액 구독모델 대신 종량제 구독모델 뜬다
[BY 티타임즈] /사진= gettyimagebank, netflix, dollar shave club, imagetoday, afp, hubspot
m.post.naver.com
'잡케터의 이것 저것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세상에서 가장 흥미로운 가게, 쇼필드(Showfields) (0) | 2021.07.03 |
---|---|
센스있는 404 에러페이지 소개! from 지금 써보러 갑니다 00.00 (0) | 2021.06.27 |
스펙 좋은 고학력 대학생이 마케팅 인턴에 합격하지 못한 이유? - 2편 (0) | 2021.06.20 |
자영업자들의 냉정한 SWOT분석을 통한 업종 변경과 성공 사례(코인노래방의 스터디카페화) (0) | 2021.06.20 |
[정리, 스크랩] 제품 성장의 엔진, 제품 주도 성장 바이럴 전략 (0) | 2021.06.14 |